본문 바로가기

MFI (Money Flow Index) 보조지표, 가격과 거래량 동시에 고려

코인/코인 팁 & 분석 2021. 7. 2.
반응형

MFI 란?

MFI (Money Flow Index)는 주식(혹은 증권)의 가격과 거래량을 사용하여 주식이 과잉 매도인지 과잉 매수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기술적 지표입니다. 이는 증권의 가격의 모멘텀이 변경된다는 경고 신호로 사용되며, 이는 RSI와 동일하게 0에서 100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상대적강도지수, RSI와는 달리, MFI는 증권의 가격과 거래량 데이터를 모두 통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기술적 분석가들은 MFI를 거래량이 가중된 RSI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MFI 값이 20 이하일 경우에 과잉 매도 상태로 해석되며, MFI 값이 80 이상일 경우에는 과잉 매수로 해석됩니다.

MFI를 이용하는 주요한 방법 중 하나는 괴리도(Divergence)가 나타났을 때입니다. 괴리도란 오실레이터(두 극단 사이를 이동하는 선 그래프)가 가격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를 말하며, 이는 현재 주가의 역전의 신호탄입니다.

 

사용법1)

트레이더들은 주가와 MFI의 여러 번의 파동들을 이용하여 큰 괴리도가 발생될 경우를 노립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10,000원에서 최고점을 찍고 8,000원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12,000원까지 상승한다면, 주가는 10,000원과 12,000원으로 두 번 연속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만약 주가가 다시 12,000원에 도달했지만 MFI 값이 예전 12,000원에 도달했을 때보다 낮은 값인 경우에는 이는 새롭게 더 높은 주가를 기록하지 못할 것이라는 가격 하락을 암시할 수 있습니다.

MFI는 또한 과잉 매수 또는 과잉 매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MFI 값이 10이하 90 이상의 값을 기록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며, 트레이더들은 MFI 값이 10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시장의 과잉 매도로 인해 매수를 하기 위한 적기라고 생각하며 90 이상을 기록한다면 매도의 적기라고 생각합니다.

과잉 매수나 과잉 매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도 트레이딩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상승 추세에 있을 때, MFI 가 20~30 이하로 하락하였다가 다시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가격 하락이 끝났으며, 다시 상승세가 재개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락세도 마찬가지입니다, 단기적인 렐리의 경우에 MFI 값을 70~80까지 끌어올릴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추세가 하락세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사용법2)

  • [80이상의 구간] : 주가가 거래량과 함께 과도하게 과열되어 있습니다. 적극적으로 매도를 준비할 타이밍입니다.
  • [65이상의 구간] : 주가가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매도를 준비해 볼 타이밍입니다.
  • [35이하의 구간] : 주가가 침체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매수를 준비해 볼 타이밍입니다.
  • [20이하의 구간] : 주가가 거래량과 함께 과도하게 침체되어 있습니다. 적극적으로 매수를 준비할 타이밍입니다.

 

MFI 와 RSI의 차이점

MFI와 RSI는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주된 차이점은 MFI는 거래량을 데이터에 포함하지만, RSI는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거래량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사람들은 거래량을 사용하는 MFI를 선행지표라고 믿습니다.

 

 

 

 

 

참고자료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junhyung34&logNo=221606117183 

https://finley.tistory.com/195 

그외 여러 웹사이트

전문 서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