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2차 세계대전의 여파에 대응한 방식과 COVID-19 글로벌 전쟁의 여파에 대응한 방식을 비교 요약
2차 세계대전 이후 일어난 일
- 2차 세계대전의 비용을 조달하기 위해 미국 정부는 국채를 발행. 정부의 이자비용을 낮추기 위해 연준이 국채를 대규모로 매입. 장기국채의 경우도 이자율은 2.5%를 넘기지 않음.
- 결과적으로, 연준의 자산부채 규모는 1939년부터 1946년까지 11배 증가.
- GDP대비 미국 정부 부채 비율은 110%까지 증가. 전쟁에서 야기된 부채를 인플레이션을 통해 녹여내리기 위해, 연준은 1951년 통화정책 합의(Monetary Accord of 1951)를 통해 정부 재부부로부터 독립성을 되찾을 때까지 국채의 장단기 이자율을 인위적으로 관리하여 고정시킴.
- 안타깝게도, 민간의 금 보유가 금지되고 서민들은 마이너스 실질 금리와 높은 인플레이션에 직격탄을 맞음. 국채와 주식 시장외에는 자산을 맡겨 놓을 시장이 없었던 것.
- 1951년에 들어 미국 정부는 부채 / GDP 비율을 110%에서 70%까지 낮추며 자산부채 관리에 성공. 연준은 그제서야 미 국채 시장에 자유시장 경제를 다시 허용.
COVID 이후 일어나고 있는 일
- 2020년, COVID와의 전쟁이 일어나고 미국 GDP는 2차 세계대전 이래 최대로 하락.
- 이에 대한 대응으로 미 공화당 정부는 미국 역사상 최대 합계액을 지출.
- 연준은 국채 이자율에 노골적으로 개입하지는 않았지만, 2020년 발행된 전체 국채의 55%를 매입. 결과적으로 연준의 재무제표 규모는 그 해 76%가 증가.
- GDP 대비 미국 정부부채는 2020년말 역대 최대치인 130%를 기록.
- 민주당 정부가 들어서면서, 공화당과 마찬가지로 수조 달러의 예산안을 상정하고 향후 더 큰 규모의 예산 책정을 공언.
- 미국 정부는 현재 쌍둥이 적자를 기록 중. 세금 수입 이상의 정부예산을 집행하고 (재정 적자), 수출액 이상의 수입액을 기록 (경상수지 적자)
- 미국 양당 정치인 모두가 정부의 공격적 재정 지출을 촉구하며, 과거의 오류를 바로잡고 COVID의 후유증으로부터 임금 수준을 보호할 것을 부르짖음.
- 외국인 투자자들은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7조 달러에 달하는 미국채 가치가 훼손되기를 지켜만 보고 있지 않는 상황. 2019년 42%였던 미국채 외국인 매입 비중은 2020년 8%에 그침.
- 정치적으로는 화폐 발행을 통한 공격적인 재정 지출의 주장만 힘을 얻음.
- 다행히도, 2021년 우리에게는 특정 정부기구나 중앙 은행의 정책 목표 대상이 아닌 크립토 자본 시장이 생김.
- 연준이 만들어낸 수십조 달러의 자금이 모두는 아니지만 일부 크립토로 흘러들 것. 제약 되지 않은(unencumbered) 크립토 시장은 통화적 인플레이션으로부터 구매력을 지켜낼 수 있는 수준으로 상승할 것.
2차 세계대전 이후 일어난 일 세부
1941년 진주만 공습 이후 공식적으로 참전을 결정하면서, 미국 정부는 막대한 전쟁비용을 조달할 방안을 마련해야했다. 기억하자 — 정부는 돈을 쓰고, 재무부는 국채를 팔아 그 비용을 마련한다. 항상 그렇지만, 돈을 빌릴 때에는 이자비용을 최소화해야 하는 법. 재무부는 자신이 발행할 국채를 매입할 준비자금을 마련할 것을 연준에게 점잖게 요청했다.
이자율을 인위적으로 낮추어 인플레이션을 통한 은밀한 조세를 통해 미국 정부의 전쟁 비용을 충당했다.
영국은 2006년에 들어서야 미국에게 입은 2차 세계대전의 부채를 청산할 수 있었다. 전쟁 비용을 모두 지불하는데 60년이란 세월이 걸린 것이다. 미국은 1946년부터 1951년까지 불과 5년만에 인플레이션을 통해 전쟁 비용 대부분을 녹여내 버렸다. 세계 기축통화국으로서의 이점을 톡톡히 누린 것이다.
이제 현재를 살펴보기 전에 이번 장에서 기억할 점은 아래와 같다:
- 전쟁은 막대한 비용을 수반하며, 정부는 임금과 자본에 직접 과세하는 것보다 인플레이션을 통한 간접적 과세를 선호한다.
- 중앙 정부의 독립성은 허상에 불구하다. 국내 정치 아젠다가 정부의 자금조달 비용을 낮추기 위해 중앙 은행의 화폐발생을 압박하면, 중앙은행은 언제든 지시를 따를 것이다.
- 늘어난 정부부채 비율을 줄이기위해, 정부는 부채를 통해 증가한 GDP 성장률보다 낮은 이자율에 부채를 조달해야만 한다.
- 이 역학관계에서 조정추는 중앙은행의 자산부채, 다시 말해 중앙은행의 재무제표 규모이다. 일반 대중들이 사들이길 거부하는, 인위적으로 낮은 이자율의 국채를 흡수하기 위해 중앙은행의 자산과 부채는 급증하게 된다.
- 이 통화적 인플레이션은 금융자산과 실물 재화의 가격에서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COVID-19 전쟁 세부
막대한 양의 미 국채를 보유한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일본과 중국은 각각 전세계 1위, 2위의 미 국채 최대 보유국)
기억하자, 채권을 보유하는 것은 이자율 하락에 배팅한 것이다. 이자율 상승 뉴스는 채권 보유자에게는 가슴 철렁이는 소식이다.
연준이 마냥 미 정부의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돈을 찍어내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몇 가지 기술적 변론이 존재한다:
- 연준은 아직 미 국채의 명시적 목표 이자율을 설정하지 않았다. 연준은 아직 우리가 모르는 특정 수준까지 이자율이 질서정연하고, 불안정하지 않게 상승하는 방향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목표 이자율을 설정한 적이 없기 때문에, 시치미 뚝 때고 인위적 이자율 조정(Yield Curve Control, YCC)은 없다고 잡아 땔 수 있다. 예전 에클스(Eccles) 의장이 했던 말을 기억해보면 이는 중요한 차이점이다. 연준이 YCC를 진행하면 이자율을 목표 수준 이하로 관리하기 위해 연준의 재무제표는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연준의 자산부채 규모가 늘어날수록, 화폐 공급량이 늘어나고 인플레이션을 야기할 환경이 조성된다.
- 연준의 부채는 법정 통화가 아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연준이 자기 계정에 막무가내로 돈을 찍어내고 이를 쓸 수 있는 게 아니란 말이다. 대신, 연준은 국채전문딜러(primary dealer)를 끼고 작은 게임을 치른다. 재무부는 국채 경매를 진행하고, 국채딜러는 입찰하고, 연준은 입찰 가격에 약간의 웃돈을 얹어 국채딜러의 물량을 바로 사들인다. 모두가 이기는 게임인 것이다. 미 정부는 쩐을 얻고, 은행은 리스크 없이 이익을 챙기며, 연준은 정부에 직접 자금을 조달하지 않는다고 잡아 땔 수 있게 된다.
- 2020년는 거창한 한해였다. 크립토는 달나라도 쏘았다가 현재는 지구 중력의 기막힌 힘에 엉켜 힘을 못쓰고 있다. 이대로 끝인 것일까? 연준의 재무제표가 계속해서 올라가면서 다른 모든 금융자산도 같이 밀어 올릴 것인가? 우리들 페페(Pepe, 인터넷 밈 캐릭터)의 사주팔자를 읽어보자.
이자율 상승은 채권과 주식 투자자에게는 불행의 전주곡이다. 연준이 단기 기준금리의 인상 시기를 앞당기거나
월간 채권 매입규모를 축소의 어느 한가지에 대해 계획이라도 밝히는 순간, 벌어질 일은 두가지다.
첫째, 외국인 투자자의 매도로 인해 주식 시장이 폭락한다. S&P 500 지수가 20% 폭락하는 순간 지구상에서 가장 빠른 인간이 뱉은 말을 주워담는 연준 의장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둘째, 미 국채 수익률이 비명을 지르며 치솟는다. 이게 무슨 의미인지 생각해보자. 이자율이 100 베이시스 포인트(1%) 오르는 것만으로도 모든 금융자산을 바닥에 꽂아 내리기에 충분하는 뜻이다.
1939년에서 1951년 기간과 유사하게, 암묵적이든 노골적이든 연준은 미 국채 매입을 통해 이자율을 경제 성장률보다 낮게 유지하도록 압력 받게 될 것이다.
현재 문제는 두가지다. 연준이 월간 채권 매입 규모를 줄일 생각에 대한 생각을 하고 있다는 점과(thinking about thinking about reducing monthly bond purchases), 미 정부 선출직 관료들이 아직 대형 예산안을 통과시키지 않았다는 점이다. 크립토 시장의 최근 전개는 연준과 미 정부가 지출을 늘리는 방향으로 협력하지 않으면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보여주는 전주곡과 같다.
나는 여러 자산군의 약세가 충분히 올 가을 초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판단한다. 연준은 6월과 7월에 걸쳐 두번의 회의를 앞두고 있다. 만약 연준이 진지하게 재무제표 증가세를 줄여 나갈 것을 논의한다면, 조심해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나는 이번 여름 가을, 전세계적 시장의 약세를 띌 것이라고 본다.
이 글의 주장은 결국 사회 불안을 가속화하지 않으면서 COVID와 전쟁을 치르기 위해서 정치적으로 타결 가능한 유일한 대응방안이 정부 차입금을 늘려 명목 GDP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 뿐이라는 점이다. 빌린 돈으로 창출한 GDP 성장률보다 차입 비용이 낮게 유지되려면, 연준은 필요한 수준이 어디까지든 재무제표를 확대할 수밖에 없다.
미국은 이미 과정을 시작했다. 2021년말에 들어, 미국채 10년물의 이자율이 2%일 때, GDP가 6.5% 성장한다고 가정하자. 이는 현재 연준과 “저명한” 경제학자들의 예상치기도 하다. 이는 4%의 마이너스 실질 금리를 뜻한다.
크립토
연준 재무제표 증가율로 나눈 비트코인와 이더리움 가격
위 차트는 COVID 이후 시기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가격을 연준의 재무제표 증가율로 나눈 자료이다. 2020년 1월 지표 값을 각각 100으로 표시했다. 최근 매서운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둘다 구매력을 보존하는데 탁월한 성과를 이루었다. 비트코인과 이더 가격은 연준 재무제표 증가율을 각각 2.3배, 15배 앞질렀다.
화폐 발행력을 가진 어떤 기관도 크립토 자산을 정책 관리의 목표로 두진 않는다. 오히려 정반대로, 모두 크립토가 인터넷에 모인 군중의 광기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는 크립토가 세계 기축통화 발행국이 자신이 찍어낸 화폐로 자국의 명목 GDP 성장률을 정책 목표로 삼을 경우 반드시 발생할 수밖에 없는 통화적 인플레이션의 화재경보기 역할을 할 수 있는 완벽한 상황을 만들어 준다.
이 글에 동의한다면 크립토 시가총액의 단기 등락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것이다. 연준의 재무제표가 커질수록, 크립토 시가총액은 함께 커질 것이다. 크립토 내 개별 코인의 상대적 성과는 내러티브, 기술력, 저변의 확대로 결정될 것이다. 이제 왜 크립토 시장의 하락에 배팅하는 것이 어리석은 짓인지에 대하여 나의 글로벌 매크로 투자론을 펼쳐놓았으니, 크립토 세부 시장 구조에 대한 분석과 DeFi가 어떻게 디지털 지급수단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현재 기존 금융기관 대부분을 무용지물로 만들어 버릴지에 대한 연구에 힘을 쏟을 차례다.
출처 : https://soulbitcoin.medium.com/%EC%97%B0%EC%A4%80-%EB%B0%9C%EC%82%AC-farb-l-ast-off-go-ac1ac08ed9b0
'코인 > 코인 팁 &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미리 증여하면 세금 안내도 되나요? (0) | 2021.06.30 |
---|---|
금리(이자)와 주가, 비트코인의 관계 (0) | 2021.06.26 |
에어드랍 플랫폼 코인포스. (0) | 2021.06.23 |
해시 레이트와 비트 코인 가격의 관계 (0) | 2021.06.21 |
금리가 상승한다면 비트코인 가격은? (0) | 2021.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