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름철 에어컨 꿀팁 모음

정보 & 팁 2021. 7. 20.
반응형

 

 

처음에 세게 틀었다가 끄는 것 vs 중간에 끄지 않고 계속 켜두는 것 어떤 것이 좋을까?

 

어떤 에어컨이냐에 따라 다르고 에어컨은 '정속형'과 '인버터' 두 가지로 나뉜다.

정속형 에어컨의 경우 세게 틀었다 끄기를 반복하는 방식에서 전기요금이 덜 나온다.

반면 인버터 에어컨은 자동절전기능이 내장돼 있어서, 전기 사용을 낮게 유지해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습니다. 오히려 껐다가 켜면 다시 열기를 잡는데 소모하는 전력이 커서, 오히려 전기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정속형과 인버터 형의 장단점 비교 

정속형: 기계값은 싸지만 전기료가 많이 나옴 ,이름 그대로 계속해서 같은 전력을 소비
인버터: 기계값은 비싸지만 전기료가 적게 나옴 ,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전력 소모가 줄어들어 절전 효과

정속형과 입버터의 기계 가격과 전기세 모두 2배 정도 차이가 난다.

 

6평형 이하는 정속형이나 인버터 에어컨이나 크게 차이가 없다.

집이 상대적으로 시원하고 가끔 에어컨을 돌린다면 정속형 에어컨을, 

집이 상대적으로 덥고 24시간 에어컨을 돌린다면 인버터 에어컨을 추천합니다.

 

 

정속형 에어컨일 경우 냉방과 절약을 동시에 잡을 방법이 없을까?

처음엔 에어컨을 낮은 온도로 설정했다가, 실내가 시원해지면 에어컨 실내온도를 26도 이상으로 설정해 계속 켜 두는 방법이 효과가 있다.

아니면 낮은 온도로 2시간 켜고 2시간 쉬었다가 다시 2시간 트는 방법도 좋다.

 

 

정속형과 인버터 에어컨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제조사마다 모델명을 확인하면 인버터형인지 알 수 있습니다!

삼성 제품의 모델명  H: 인버터 ,C: 정속형

LG 전자는 모델명 두번째 자리에 W와 Q가 있으면 인버터형.

대유위니아는 세번째 자리에 V와 W가 있으면 인버터형.

캐리어는 다섯번째 자리에 V가 있으면 인버터형. 모델명이 C로 시작할 때는 세번째 자리에 V가 있으면 인버터형입니다.

 먼저 2010년 이후 출시된 모델의 경우 대부분이 인버터 에어컨이다. 인버터 에어컨일 경우에는 실내기에 'Inverter'라는 말이 쓰여 있거나 제품 상세페이지에 '인버터'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정속형 에어컨은 구형 모델에서 많이 보인다.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 스티커를 보실 때, 만약 5등급이라면 100% 정속형 모델입니다. 

 

제습 모드가 전기를 덜 사용한다?

제습과 냉방 모드 둘 다 전기 사용량은 비슷합니다. 하지만 습도가 높으면 온도가 낮아도 불쾌감을 느끼기 때문에 제습모드를 사용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참고자료

삼성에어컨 홈페이지

비즈한국

https://pa-baa.tistory.com/60

반응형

'정보 &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웹브라우저 순위와 장단점  (0) 2021.07.28
여름철 옷 색깔 조합 팁  (0) 2021.07.21
막대사탕 종이접기.gif  (0) 2021.07.19
여자 속옷 선물 꿀팁  (0) 2021.07.19
귀여운 종이비행기 접기.gif  (0) 2021.07.18

댓글